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오페라 하우스(말)

덤프버전 : (♥ 0)

파일:오페라하우스말.jpg
이름Opera House
출생1988년 2월 24일
죽음2016년 4월 20일 (28세)
성별수컷
털색갈색(Bay)
아비새들러스 웰즈
어미컬러스핀(Colorspin)
외조부High Top
성적18전 8승
총상금737,701 파운드
+1,200,000 프랑
주요
우승
G1코로네이션 컵(1993)
이클립스 스테이크스(1993)
킹 조지 6세 & 퀸 엘리자베스 스테이크스(1993)
G2태터솔즈 로저스 골드컵(1992)
G3브리거디어 제라드 스테이크스(1992)
컴벌랜드 로지 스테이크스(1992)
주요 수상카르티에상 최우수 고마(1993)
주요 자마티엠 오페라 오(1996)
메이쇼 삼손(2003)

1. 개요
2. 혈통
3. 생애
4. 종마 생활
4.1. 주요 산구
4.2. Broodmare Sire(BMS) 산구
5. 경주 성적



1. 개요[편집]


영국의 경주마.

2. 혈통[편집]


1대2대3대
Sadler's Wells
1981 파일:미국 국기.svg
Northern Dancer
1961 파일:캐나다 국기.svg
Nearctic
Natalma
Fairy Bridge
1975 파일:미국 국기.svg
Bold Reason
Special
Colorspin
1983 파일:프랑스 국기.svg
High Top
1969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Derring-Do
Camenae
Reprocolor
1976 파일:영국 국기.svg
Jimmy Reppin
Blue Queen
* Djeddah 5×5 6.25%

아버지는 유럽 경마를 지배했고, 지금도 대를 이어 지배하고 있는 새들러스 왕조를 연 새들러스 웰즈다.


3. 생애[편집]


유럽 경마를 풍미한 말. 2세 데뷔 때 후속과 10마신 이상을 벌리며 충격적인 데뷔를 하지만 부상으로 인해 휴양, 3세까지 별 활약이 없었으나 4세에 포텐셜이 폭발하기 시작해 5세에 코로네이션 컵, 이클립스 스테이크스, 영국 최고의 경주 킹 조지 6세 & 퀸 엘리자베스 스테이크스를 우승한 명마였다. 그러나 개선문상 3착, 미국의 브리더스컵 터프에서 6착이란 성적을 거두고 은퇴한다.


4. 종마 생활[편집]




연도교배료
(만 엔)
조건교배
두수
자마
두수
Sire
순위
계양처일본 경종마 협회(JBBA) (1994~2012)
1994420[수태]50--
1995210[수태]7837-
1996[B]7864-
1997[B]8362247
1998170[B]505260
1999120[B]993813
2000170[B]93824
2001220[B]96807
2002230[B]967936
2003200[B]867424
2004168[B]276734
2005105[B]282218
200650[B]1572110
2007150[B]6610112
2008[B]465122
2009100[B]262825
2010[수태]541528
2011[수태]253531
2012[수태]161140
2013-765
[출처]

이후 1994년 일본 경종마협회[1]에서 오페라 하우스를 구입, 종마 생활을 시작하여 첫해에 Jpn1 중상마를 배출하였고 2년째에 2000년 일본 경마를 지배한 티엠 오페라 오를 배출하였다. 다만 오페라 오 이후 이렇다 할 산구가 없다가 2006년 메이쇼 삼손사츠키상, 일본 더비를 우승하며 인기가 급상승. 다만 메이쇼 삼손 이후 잔디 경주에서는 별다른 성과가 없었으나 장애물에서 G1 자마를 배출했다. 2012년까지 종마 생활을 하다 고령으로 은퇴하였고 이후 2016년에 죽었다.

전체적으로 보면 안정적이지 않지만 고점은 높은 타입으로 일본에서 인기 없는 새들러스 웰즈계의 종마로서는 유일하게 G1 자마를 배출했다. 교배 대상이라곤 거의 다 중소목장의 급이 떨어지는 암말이었는데도 이런 성적을 낸 점 때문에 종마로서의 평가는 매우 좋은 편. 잔디, 더트, 장애물에서 모두 G1/Jpn1을 우승한 자마를 배출한 몇 안 되는 종마이다.[2] 다만 대표 산구인 오페라 오와 메이쇼 삼손이 종마로서는 좋은 성적을 남기지 못해 직계는 끊겼다.

메이세이 오페라페브러리 스테이크스를 우승했을 때, 메이세이 오페라가 오페라 하우스의 자마인 줄 안 사람들로 인해 교배 요청이 폭증했다고 한다.메이세이 오페라의 부마는 니진스키 2 계인 그랜드 오페라로 오페라 하우스와는 연관이 없다.어차피 둘 다 노던 댄서 직계들이다

4.1. 주요 산구[편집]


  • GI/JpnI 우승은 굵은 색으로 표시.
1995년
  • 니혼 필로 주피터 - 마일 챔피언십 남부배(1999), 엘름 스테이크스(1999)
1996년
1997년
  • 액티브 바이오 - 닛케이상, 아르헨티나 공화국배
  • 미라클 오페라 - 머큐리 컵, 하쿠산 대상전
  • 카리스마 산 오페라 - 나카야마 금배
2000년산
  • 스프링겐트 - 나카야마 그랜드 점프(2009), 도쿄 하이 점프(2006), 교토 하이 점프(2006), 교토 점프 스테이크스(2006)
  • 바로네 폰텐 - 도쿄 오텀 점프
2001년산
  • 오페라 시티 - 메구로 기념
  • 코웨이 트라이 - 한신 점프 스테이크스 4승, 고쿠라 서머 점프 2승, 도쿄 오텀 점프, 니가타 점프 스테이크스
2003년산
2004년산
  • 토센 크라운 - 나카야마 기념
  • 티엠 앙코르 - 오사카배
2007년산

4.2. Broodmare Sire(BMS) 산구[편집]




5. 경주 성적[편집]


파일:bha-logo.png 이클립스 스테이크스
(G1)
우승마
[ 펼치기 · 접기 ]

샌다운 경마장, 잔디 1m 1f 209y
1886
벤디고
1888
오르빗
1889
에어셔
1891
슈어푸트
1892 · 1893
오르메
1894
아이싱래스
1895
르 저스티시어
1896
세인트 프러스킨
1897
페르시몬
1898
벨라스케스
1899
플라잉 폭스
1900
다이아몬드 주빌리
1901
엡섬 래드
1902
치어스
1903
아드 패트릭
1904
달리 데일
1905
발 도르
1906
랑지비
1907
랠리
1908
유어 마제스티
1909
바야르도
1910
렘버그 · 네일 고우동착
1911
스윈포드
1912
프린스 팰러틴
1913
트레이서리
1914
합스부르크
1915~1918
없음
1919 · 1920
부찬
1921
크레이그 안 에란
1922
골든 미스
1923
살타스
1924 · 1925
폴리폰테스
1926
코로나흐
1927
콜로라도
1928
페어웨이
1929
로열 민스트렐
1930
러스텀 파샤
1931
칼리언
1932
미라클
1933
로닝데일
1934
킹 살몬
1935
윈드서 래드
1936
로도스 스콜라
1937
보스웰
1938
파스
1939
블루 피터
1940~1945
없음
1946
걸프 스트림
1947
미골리
1948
페티션
1949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제다
1950
플로콘
1951
미스터리
1952
툴야르
1953
아르구르
1954
킹 오브 더 튜더스
1955
다리우스
1956
트로피크
1957
아크틱 익스플로러
1958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밸리모스
1959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생크레스팽
1960
자벨롯
1961
세인드 패디
1962
헨리 더 세븐스
1963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칼키스
1964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라구사
1965
캐니스베이
1966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피시스 오브 에이트
1967
버스티드
1968
로열 팰리스
1969
울버 할로우
1970
코노트
그룹제 도입, G1 지정 후
1971
밀 리프
1972
브리거디어 제라드
1973
스코티시 라이플
1974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쿠 드 푀
1975
스타 어필
1976
월로우
1977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르타이우스
1978
거너 비
1979
디킨스 힐
1980
엘라마나모
1981
마스터 윌리
1982
칼라글로우
1983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솔포드
1984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새들러스 웰즈
1985
페블스
1986
댄싱 브레이브
1987 · 1988
음토토
1989
내시원
1990
엘마물
1991
인바이런먼트 프렌드
1992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쿠욘가
1993
오페라 하우스
1994
에조드
1995 · 1996
할링
1997
피우수트스키
1998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데일라미
1999
컴프턴 애드머럴
2000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자이언츠 코즈웨이
2001
메디시언
2002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호크윙
2003
팔브라브
2004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리퓨즈 투 벤드
2005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오라토리오
2006
데이비드 주니어
2007
낫나우케이토
2008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마운트 넬슨
2009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시 더 스타즈
2010
트와이스 오버
2011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소 유 싱크
2012
너새니얼
2013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알 카심
2014
무카드람
2015
골든 혼
2016
호크빌
2017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율리시스
2018
로어링 라이언
2019
이네이블
2020
가이야스
2021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세인트마크스 바실리카
2022
파일:프랑스 국기.svg 바데니
2023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패딩턴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7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7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0 11:29:09에 나무위키 오페라 하우스(말)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수태] A B C D E 수태조건[B] A B C D E F G H I J K L M N 불수태시 반환[출처] #[1] 외국에서 종마를 수입해 대형 종마장보다 비교적 싼 값에 교배를 제공하는 협회. 샤다이를 비롯한 대형 종마장의 종마는 교배 권리가 매우 비싸기 때문에 중소 생산 목장에서 주로 이용한다.[2] 이 정도 성적이면 샤다이 그룹의 어지간한 1군 종마도 명함을 못 내미는 종마 성적이다.